본문 바로가기
문학

설의법(設疑法)의 이해

by *$%^@ 2024. 2. 17.

설의법(設疑法)의 이해

개요

설의법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조하거나 독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되는 수사법 중 하나로, 평서문으로 진술해도 좋을 문장을 일부러 의문의 형식을 사용하여 변화를 주고 나타내고자 하는 생각 등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의문문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답은 이미 알고 있거나 전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사의문문과는 구별됩니다. 수사의문문은 상대방의 대답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rhetorical question(수사적인 질문)으로 사용됩니다.

설의법은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문학 장르에서 활용되며, 독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거나 여운을 남기며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또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특징

1. 강조: 나타내고자 하는 생각을 강조하여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의 주의를 끌고, 문장의 의미를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2. 변화: 평서문으로 진술해도 좋을 문장을 의문의 형식으로 바꾸어 표현함으로써 문장에 변화를 줍니다. 이를 통해 문장이 단조로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독자의 흥미를 끌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의미 내포: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한 질문으로 해석될 수도 있고, 반어적이거나 풍자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4. 독창성: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감동을 전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를 통해 독창적인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5. 여운: 독자에게 여운을 남기며,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작품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활용과 예시

1. 시: 시에서는 함축적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시에서는 짧은 문장 안에 많은 의미를 담아야 하기 때문에, 설의법을 사용하여 의미를 강조하고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예를 들어,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서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라는 구절은 이별의 아픔을 강조하고, 떠난 사랑이 아직도 자신의 마음속에 살아 있음을 설의법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2. 소설: 인물의 심리를 표현하거나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인물의 내적 갈등이나 고민을 표현하거나, 상황의 긴박감이나 긴장감을 강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김유정의 '동백꽃'에서 "그럼 너 이담부터 안 그럴 테냐?"라는 구절은 점순이가 주인공에게 감자를 준 이유를 주인공이 눈치채지 못하자, 이를 답답해하며 묻는 것으로, 인물의 심리를 설의법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3. 수필: 주제를 강조하거나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제를 강조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여 작품의 감동을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피천득의 '인연'에서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라는 구절은 인간의 삶에서 만남과 이별이 가지는 의미를 설의법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맺음말

설의법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조하거나, 독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사용되는 수사법 중 하나로, 시, 소설, 수필 등 다양한 문학 장르에서 활용됩니다.

의문문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답은 이미 알고 있거나 전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사의문문과는 구별되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독창적인 표현을 할 수 있고, 여운을 남기며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설의법을 사용할 때는 상황과 목적에 맞게 적절한 표현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길동전,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0) 2024.02.24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  (0) 2024.02.16
'응집성(cohesion)'이란?  (0) 2024.02.15
페미니즘(Feminism)의 물결  (0) 2024.02.14
인생의 바람직한 조건, 오복(五福)  (0) 2024.02.13